가족 간병의 어려움, 월 300~400만원 이상의 간병비 등의 이유로 간병인 보험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무턱대고 가입하기 보다는 꼼꼼히 알아보고 가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간병인 보험 가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5가지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5가지 사항 꼼꼼하게 체크해보세요.
1. 간병인 지원 vs 간병인 사용
현재 보험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 간병인 보험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번째 형태는 간병인 지원 일당입니다. 보험사와 제휴된 간병인업체에서 간병인을 직접 지원해주는 경우입니다. 비용 걱정 없이 마음 편히 간병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에 간병인 인건비가 올라도 추가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간병인을 사용하기 48시간 이전에 신청을 해야 하는 것이 단점입니다.
두번째 형태는 간병인 사용 일당입니다. 직접 간병인 업체를 알아봐서 간병인을 부르고 비용을 직접 부담합니다. 추후에 간병인을 사용한 일수만큼 가입금액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10일을 사용했고 가입금액이 10만원이면 100만원을 청구하는 식입니다. 48시간 이전 요청하는 조건 없이 바로 첫 날부터 혜택이 가능합니다.
요즘은 1일 최대 20만원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요양병원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5~10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사용했을때는 7~10만원 정도를 하루에 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2. 가입 금액이 충분한가?
두번째 형태인 간병인 사용 일당에 대한 체크리스트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 간병인 사용 일당 보험은 1일 최대 20만원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요양병원에서 간병인을 사용했경우에는 5~10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사용했을때는 7~10만원 정도를 하루에 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요즘 간병인이 하루 10~13만원 정도 하지만 그에 맞춰서 가입하기 보다는 15~20만원 정도 넉넉하게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앞으로 인건비 상승도 고려해야겠지만, 간병인이 식사비, 교통비 등의 명목으로 웃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3. 갱신형 vs 비갱신형 무엇이 좋을까?
간병인보험도 다른 보험과 마찬가지로 갱신형, 비갱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갱신형은 보험료가 저렴하지만 일정 주기(10년, 20년 등)마다 보험료가 오르면서 재가입되는 형태입니다. 비갱신형은 납입기간 (20년, 30년 등) 동안 보험료가 오르지 않지만, 당장 내는 돈은 갱신형보다 비쌉니다.
결국 만기까지 돈을 내면 비갱신형이 총 내는 보험료는 더 적습니다. 하지만 입원해서 간병인을 사용할 확률이 높은 60~80대 시기만을 고려해 20년 갱신형으로 가입하는 것도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4. 보장만기는 충분한지 체크합니다.
보통 90세, 100세 만기를 많이 선택하는 추세입니다. 100세 보장이 든든하겠지만 보험료가 문제입니다.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100세 만기로 하는 경우 1~2만원씩 늘어나기도 하기 때문에 보험료를 아끼고자 90세로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납입 여력과 건강 상태에 따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5. 납입면제 조건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보통 암, 뇌, 심장 등 3대 질병에 걸리면 차후 보험료 납입이 면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병인 보험은 주로 50~60대 이상이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납입 면제를 활용할 확률도 큰 편입니다. 큰 병에 걸려 간병이 필요하게 되면, 앞으론 낼 보험료도 부담스럽겠지요. 납입 면제되는 기능이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간병인 보험 가입 전 체크리스트 5가지 알아보세요.
관련글
암보험 가입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 6가지
내보험찾아줌 보험 가입내역 한 번에 조회하기
4세대 실손보험 전환 고민 중이라면? (세대별 실손 비교)
국민연금 많이 받는 방법 6가지